본문 바로가기
Life & Golf By Maudae

Do you know Yeon Deok-chun, the 'root' of Korean golf? <40>

by 마우대 2024. 5. 29.

Yeon Deok-chun, the first professional golfer who made a connection with golf as a caddie at the age of 18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was the starting point of Korean golf. In Korea, golf began to take root through Yeon Deok-chun, and now 6 million golfers have emerged as a golf powerhouse where golf courses are played. The photo shows Yeon Deok-chun winning the Japanese Open in 1941 and holding a trophy.

 

Golf population 6 million. There is a country on this planet where 12 out of 100 people play golf.

It is the Republic of Korea, a country that occupies an area as big as the eye (103,339㎢) when looking at the earth.

 

The Korean Peninsula (222,000 square kilometers) that embraces the Republic of Korea is located at the remote end of Northeast Asia on the Pacific Ocean. According to World Bank statistics, Korea ranks 109th out of 229 countries in the world. The largest country is Russia, which is at war with Ukraine, which covers an area of 17.098 million square kilometers.

 

According to data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orea has a total population of 51.55 million as of 2023. But isn't it amazing that 6 million people, or 12% of them, play golf? Considering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excluding children, the elderly, and others, the proportion of the golf population will rise even higher.

At the end of the Korean War in 1953, Korea was the poorest country in the world, whose per capita income was only 67 dollars. However, in 2020, for the first time in 70 years, the per capita income was 31,881 dollars, joining the ranks of advanced countries.

6 million Korean golf population... Finding the 'Golf Roots'

It's become a popular sport in luxury... The world changes so violently

The surge in the golf population coincides with the growing economic power. With household income, the national economic power grew, and there was more room for golf courses, the number of golf people also increased. Golf was treated as a luxury sport when it was struggling with poverty, and national policy discouraged the establishment of new golf courses and monitored the access of public officials to golf courses. If businessmen frequently visit golf courses, they have also been subject to tax audits.

It has become a popular sport with 6 million people enjoying golf in such a country, so it's a great transition, it's a great transformation (the world changes so violently, turn the world upside down).

 

The Korean people think of Dangun, the founder of Gojoseon, and each family name enshrine the founder. Who is the the “founder” and "root" of 6 million Korean golfers? I believe the late Yeon Deok-chun (1916-2004) is a professional golfer. So, at least for Korean golfers, wouldn't it be a good idea to find out who Yeon Deok-chun is? It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roots of Korean golf by examining his turbulent life trajectory.

Yeon Deok-chun, the first professional golfer, started as a caddie... studying in Japan

Born in Ttukseom (now Ttukseom, Seoul) in Goyang-gun, Gyeonggi-do, Yeon Deok-chun, the son of a farmer, made a connection with golf in 1932 when he was 16 years old, when he went to see his nephew, who is a caddie master at the Gunjari Golf Course (now located at a children's park in Seongdong-gu, Seoul), close to his home.

Having been interested in golf, Yeon Deok-chun got a club from Japanese Sirimas, a military golf club professional, and practiced in a sweat, and his skills improved. Just in time, when Sirimas returns home sick, the club's professional position is visa. Kyungsung Golf Club decides to send Yeon Deok-chun, who is already showing his skills, to Japan to study.

 

Yeon Deok-chun, who went to Fujisawa Golf Club in Kanagawa Prefecture to study in 1934, obtained a professional certificate from the Japan Kanto Golf Federation in February 1935 and became the first Korean professional golfer. In the same year, Yeon participated in the Japanese Open held at Tokyo Country Club for the first time, but experienced a bitter taste of elimination from the preliminary round.

The miracle of winning the Japanese Open... Japanese media headlines

After returning to Korea, he works as a head pro at Gyeongseong Golf Club, and practices hard at the military golf course to improve his performance. At the request of Japanese imperialism, he even used the Japanese name "Nohabura" in response to change of family name. In 1941, when he was 25 years old, he took his sixth attempt at the Japanese Open, which was held just before the Pacific War, and confidently lifted the trophy with a total of two over par 290. When he returned home with the trophy after winning a miraculous victory, a large crowd of people flocked to Gyeongseong Station, and the Japanese media also heavily dealt with his victory.

However, after suffering from the Korean War and the disappearance of golf courses, Yeon Deok-chun participated in the Canadian Cup, the predecessor of the current World Cup golf tournament, in 1956 with the late Park Myung-chul (1929-2009), who raised him, and presented Korea's golf for the first time on the world stage.

 

In June 1958, at the age of 42, Yeon Deok-chun participated in the 1st Korean Professional Golf Championship, his first professional competition, and recorded his first win by a gap of 16 strokes from second place. This was his first win in 17 years after winning the Japanese Open, and he showed his juniors that his skills were not rusty.

 

After establishing the Korea Professional Golf Association (KPGA) in 1968, he also focused on nurturing his students through an academy called "Golf Training Center." Today's first-generation professional golfers, including Han Jang-sang, Hong Deok-san, Lee Il-an, Kang Young-il, and Cho Tae-woon, were able to be born thanks to Yeon's passion. When the KPGA was founded, Yeon Deok-chun served as managing director and disciplinary chairman, and when he became the second KPGA president in 1972, he raced to put the association on the rock.

 

Today, the KPGA produces male professionals through selection matches every year, and among them, the KPGA has advanced to Japan, Asia, Europe, and the U.S. to stage wins one after another. The founding of the KPGA gave birth to female professional golfers. The KPGA board of directors first discussed fostering female professional golfers in November 1975.

 

The board decided to select female professional golfers according to the board's resolution, and on May 26, 1978, they conducted a protection test at Royal CC, and selected four female golfers: Kang Chun-ja, Han Myung-hyun, Ahn Jong-hyun, and Koo Ok-hee. Korea's first female professional golfer was born. Kim Sung-hee, Lee Gwi-nam, Ko Yong-hak, and Bae Sung-soon passed the second round of the professional test, which took place on Aug. 10, and the association established the women's professional department.

 

As the number of female members increased to 48, the KPGA separated the professional women's team into the Korea Ladies Professional Golf Association (KLPGA), a separate division, through a regular general meeting in December 1988. The first KLPGA president was Han Jang-sang, a student of Yeon Deok-chun.

 

As such, Yeon Deok-chun, the first professional golfer who became involved with golf as a caddie at the age of 18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could have been the starting point for Korean golf. Without Yeon Deok-chun, star professional golfers named Han Jang-sang, Choi Sang-ho, Koo Ok-hee, Choi Kyung-ju, Park Se-ri, Kim Mi-hyun, Park In-bee, Shin Ji-ae, Ko Jin-young and Kim Joo-hyung might not have been born.

 

Thanks to the stellar performance of these star golfers, we are now able to welcome the era of Korea's golf population of 6 million. Indeed, Yeon is credited with a tremendous amount of work.

 

Yeonduk-chun. That's why you can call him the "seed" and "founder" of Korean golf. Whether you are a professional golfer or an amateur golfer, it would be meaningful to think about the value of Yeonduk-chun's existence whenever you join a club.

 

Today, we had an opportunity to take an overview of the footsteps of the late professional Yeon Deok-chun in the era of 6 million golf population in Korea.

 

The Story of Maudae’s life and golf continues.

 

*↓     *↓     *↓     *↓     *

 

한국 골프의 '뿌리' 연덕춘을 아시나요? <40>

 

골프 인구 600만 명. 전체 인구 100명 중에서 12명이 골프를 치는 나라가 이 지구상에 있습니다.

지구를 놓고 볼 때 눈꼽만한 면적(10만 339㎢)을 차지하고 있는 나라, 대한민국이 바로 그곳입니다.

 

대한민국을 품고 있는 한반도(222)는 태평양에 접한 동북아 끝단 외진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세계은행 통계 상으로는 대한민국의 국토 면적은 전 세계 229개 국가 중 109위에 불과합니다. 가장 넓은 나라는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벌이고 있는 러시아로 면적은 무려 17098에 이릅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3년 현재 한국의 총 인구 수는 5,155만 명. 그런데 이 가운데 약 12%600만 명이 골프를 친다니 정말 놀랍지 않습니까? 어린이, 노약자 등을 뺀 경제활동 인구로 따진다면 골프 인구 비율은 훨씬 더 올라갈 것입니다6.25 전쟁이 끝날무렵인 19531인당 국민소득은 67달러에 불과했던 세계 최빈국이 대한민국이었습니다. 그런데 70년 만인 20201인당 국민소득은 31,881달러로 선진국 대열에 합류했습니다.

한국 골프 인구 600만명...'골프 뿌리'를 찾아서

사치성에서 대중 스포츠로 자리잡아...'상전벽해'

골프 인구 급증은 경제력이 커지는 것과 궤를 같이합니다. 가계 소득이 는데다 국가 경제력이 커지고 여유가 생기면서 골프장 증설과 함께 골프 인구도 늘어난 것입니다. 가난에 허덕일 때 골프는 사치성 스포츠로 질시를 받았고, 국가 정책이 골프장 신설을 억제하고 공직자들의 골프장 출입도 감시했습니다. 기업인들이 골프장에 자주 드나들면 세무조사 대상이 되기도 했습니다.

그런 나라에서 600만명이 골프를 즐길 정도로 대중스포츠로 자리 잡았으니 상전벽해(桑田碧海), 천지개벽(天地開闢)이 아닐 수 없습니다.

 

한민족은 시조로 고조선의 단군을 떠올리고 각 성씨는 저마다 시조를 모십니다. 대한민국 골퍼 600만명의 '시조(始祖)'이자 '뿌리'는 누구일까요? 저는 바로 고() 연덕춘(延德春, 1916~2004) 프로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적어도 대한민국 골퍼라면 '골프 시조' 연덕춘 프로가 누군지 알아놓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그의 파란만장한 삶의 궤적이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것은 한국 골프의 뿌리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프로 골퍼 1호 연덕춘은 캐디로 출발...일본서 유학

경기도 고양군 뚝섬(지금의 서울 뚝섬)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연덕춘은 16세때인 1932년 집과 가까운 군자리 골프코스(현재 서울 성동구 어린이공원 자리)에 캐디 마스터를 하는 조카를 만나러 갔다가 조카의 제안을 받고 캐디 마스터 보조역을 맡으면서 골프와 인연을 맺습니다.

골프에 흥미를 느낀 연덕춘은 군자리 골프장 클럽 프로인 일본인 시리마스로부터 클럽 하나를 얻은 뒤 비지땀을 흘리며 연습을 한 결과 실력이 일취월장합니다. 때마침 시리마스가 병이 들어 귀국하면서 클럽 프로 자리가 비자 경성골프클럽 측은 이미 발군의 실력을 보이고 있는 연덕춘을 일본에 유학을 보내기로 결정합니다.

 

1934년 일본 가나가와현 후지사와골프클럽으로 유학을 간 연덕춘은 일본오픈 우승자이자 클럽 헤드프로 나카무라로부터 본격적인 골프 수업을 받은 결과 19352월 일본 관동골프연맹으로부터 프로자격증을 획득, 한국인 1호 프로골퍼가 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같은 해 일본 도쿄컨트리클럽에서 열린 일본오픈에 처음 참가했지만 예선 탈락의 쓴 맛을 경험합니다.

6번째 도전 일본 오픈서 우승 기적...일본 언론 대서특필

한국으로 돌아와 경성골프클럽 헤드프로로 일하면서 군자리골프코스에서 맹연습을 하며 기량을 닦아나갑니다. 일제의 요구에 따라 창씨개명에 응해 '노부하라'라는 일본 이름을 쓰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그의 나이 25세 때인 1941년 태평양 전쟁 직전에 열린 일본오픈에 6번째 도전, 4라운드 합계 2 오버파 290타로 당당하게 우승컵을 들어 올립니다. 그가 기적같은 우승을 한 뒤 우승트로피를 들고 귀국하자 경성역에서 많은 환영 인파가 몰려들었고, 일본 언론들도 그의 우승을 크게 다루었습니다.

그러나 한국 전쟁이 터지고 골프장이 없어지는 등의 곡절을 겪은 연덕춘은 1956년 자신이 키운 고 박명출(1929~2009)과 함께 지금의 월드컵 골프대회 전신인 캐나다컵에 한국 대표로 출전, 대한민국 골프를 세계무대에 처음으로 선보였습니다.

 

42세때인 19586월 국내 첫 프로대회인 제1회 한국프로골프선수권에 출전한 연덕춘은 2위와 16타 차로 첫 우승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일본 오픈 우승 이후 17년 만의 쾌거로 실력이 녹슬지 않았음을 후배들에게 보여주었습니다.

 

연덕춘은 1968년 한국프로골프협회(KPGA)를 창설한 데 이어 '골프양성원'이라는 아카데미를 통해 제자를 길러내는데도 주력했습니다. 한장상, 홍덕산, 이일안, 강영일, 조태운 등 오늘날 1세대 프로 골퍼들이 연덕춘의 열정 덕분에 탄생할 수 있었습니다. 연덕춘은 KPGA 창립때 상무 겸 징계위원장을, 1972년에는 제2KPGA 회장에 올라 협회를 반석에 앉히기 위해 동분서주했습니다.

 

오늘날 KPGA는 매년 선발전을 통해 남자 프로들을 배출하고 있고, 그들 중에서 일본, 아시아, 유럽, 미국 무대로 진출해 잇따라 우승행렬을 펼치고 있습니다. KPGA 창립은 여성 프로골퍼들을 탄생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197511KPGA 이사회를 통해 여성프로골퍼 육성을 처음 논의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이 이사회 결의에 따라 여자프로골퍼를 선발하기로 하고 1978526일 로얄(지금의 레이크우드) CC에서 프로테스트를 실시해 강춘자, 한명현, 안종현, 구옥희 등 4명을 선발했습니다. 한국 최초의 여자 프로 골퍼가 탄생한 것입니다. 이어 810일에 실시된 2차 프로 테스트에서 김성희, 이귀남, 고용학, 배성순 등이 합격했고, 협회는 여자 프로부를 신설했습니다.

 

여자부 회원 수가 48명으로 늘어나자 KPGA198812월 정기총회를 통해 여자 프로부를 별도의 사단법인인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KLPGA)로 분리시켰습니다. 초대 KLPGA 회장은 연덕춘 프로의 제자인 한장상 프로가 맡았습니다.

 

이처럼 일제강점하에서 18세때 캐디로 골프와 인연을 맺은 1호 프로골퍼 연덕춘은 한국 골프의 시작점이 될 수 있었습니다. 연덕춘이 없었으면 한장상, 최상호, 구옥희, 최경주, 박세리, 김미현, 박인비, 신지애, 고진영, 김주형이라는 스타 프로골퍼가 태어나지 못했을 수도 있습니다.

 

이들 스타 골퍼의 맹활약에 힘입어 오늘날 대한민국 골프 인구 600만 명 시대를 맞을 수 있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실로 연덕춘의 공은 지대합니다.

 

연덕춘. 그래서 그를 대한민국 골프의 '씨앗'이자 '시조(始祖)'로 부를 수 있는 겁니다. 프로골퍼이든, 아마추어골퍼이든 클럽을 잡을 때마다 연덕춘 프로의 존재 가치를 떠올려보는 것도 의미있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대한민국 골프인구 600만명 시대를 맞아 고 연덕춘 프로의 발자취를 개괄적으로 살펴보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마우대의 인생골프 이야기는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