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fe & Golf By Maudae

"Food price tyranny"... The golf course shade house will disappear <42>

by 마우대 2024. 6. 2.

 

Recently, most of the shade houses of Korean golf courses have been closed. This is because golfers refuse to use food and beverages sold in shade houses when they are too expensive. The photo shows a shade house at a golf course in Japan.

 

"Since a long time ago, seniors and juniors have formed a golf club and have a group round at a golf club in Busan every month. The unit price of a customer has increased from 40,000 won last year to 50,000 won this year. How can a can of beer cost 10,000 won and a can of side dishes costs 40,000 won to 50,000 won. I get angry whenever I see a bill for a restaurant in a golf club. It's too much to do."

 

"The golf course shade house, which used to be crowded with golfers, is empty because the food is so expensive. Golfers who were treated like pushovers refused to eat the food at the shade house. It is up to the golf clubs to blame that the shade house is falling apart.“

Korean golf courses "Unstoppable Greed"... "Raised the unit price again"

The greed of golf courses knows no bounds. The price of green fees and expensive cart fees also makes golfers cry with absurd food prices. Whether it is a member golf course or a public golf course, the food is also expensive. There are many golf courses that charge from 15,000 won to 20,000 won for a bottle of makgeolli.

Golfers who meet monthly at golf courses are complaining that the unit price for their guests is too high. The term "household price" refers to the amount of food that golfers who meet regularly at golf courses have to eat at a clubhouse restaurant per person. For example, if a group of 5 (four players × five players = 20 players) play a regular round at golf courses every month, they will have to pay more than 50,000 won (4 players) per person in addition to green fees, cart fees, and caddie fees.

 

Professor A confessed, "I got very angry when I was informed that the unit price of a guest would be raised from 40,000 won to 50,000 won from the B golf course in Busan, which I have been using as a venue for my monthly meeting for several years." Usually, the unit price of a guest was covered by members' dues under the concept of company dinner, but as the price was raised to 50,000 won, I was in a position to collect more dues. Is there a golf course other than Korea that forces golfers to bear additional burdens by naming it oddly?

 

"Korean golf clubs' greedy oversue of power abuse is insane," he said, expressing his excitement after coming back from a golf course near Osaka, Japan for three days and two nights. At a Japanese golf course, he could enjoy the round without a caddy, and the daily cost was only around 100,000 won including two meals, a resort stay and a hot spring bath. C claims that it would have cost around 500,000 won to 1 million won per person to receive the same service as Japan does in Korea.

If golfers turn away from expensive food... the shade house eventually close

However, the "greedy overuse of power" of Korean golf courses has slowly started to show its limits. A growing number of shade houses are closing their doors. Besides club houses, golf courses used to sell simple meals and food and beverage by building shade houses in the middle of the nine out-course and nine in-course golf courses. Five to six years ago, shade houses were crowded with golfers who enjoyed makgeolli, beer and beverages, but at some point, they began to be empty. This is because food prices are so high that golfers have turned a blind eye to using shade houses.

As golfers completely turned a blind eye to the use of shade houses, they ended up raising their hands. They had no choice but to send out the staff who worked in the shade houses or assign them to other places. Currently, many shade houses are closed and only toilets are in operation. Some golf courses operate as if they are unmanned stores with card readers installed to make fun of their facilities, but few golfers visit these places.

 

The shade house is now in a state of cold food where only flies fly. If you look closely inside the closed shade house, you will find that it is just dusty on the dining table and chairs. It costs hundreds of millions of dollars to build a shade house. From a golf course's point of view, it would be unfair to see such an empty shade house. Just as a store without customers cannot survive, a golf course shade house that lost customers had to be shut down.

Clubhouse Restaurant Food Denial Movements... Will Outsourcing Survive?

Golfers' refusal to serve food at golf courses seems to be spreading beyond shade houses to clubhouse restaurants. Most golf courses are known not to operate restaurants or shade houses directly, but to outsourcing them to affiliates of large companies for a certain fee. Even if golfers do not use the clubhouse restaurant, they may think that there is no immediate loss to golf courses. However, if customers continue to turn a blind eye to golf, it is obvious that even outsourcing companies cannot afford to do so.

After the outsourcing company leaves, the golf course will be really troublesome. We cannot completely eliminate the restaurant because there are customers who are looking for it, and we have to hire a number of employees, including licensed chefs and serving staff, to keep the restaurant. Given the behavior of golf courses that are frequently abusing their power, I think we can realize the importance of customers only when we go to such a corner.

 

With the end of the COVID-19 pandemic and an increasing number of overseas trips, a cold wind has started blowing in golf courses. Recently, golf course reservations have become much better, and many golf courses are now booked out in the early morning or afternoon hours. Golfers are not able to withstand high fares and go to overseas golf courses where they can play cheaply. Most of all, it will be painful for golf courses to see that the younger generation of MZ has begun to turn a blind eye to golf. Future customers will disappear.

"If the price is too high, the golf course will go down like a shade house"

Shade houses without customers are or have begun to go bankrupt. If this continues, there is a greater chance that clubhouse restaurants will be hit. From the perspective of golf courses, we have to approach this problem with a big perspective. The fact that golf courses can also go bankrupt if the cost of golf is too high, just as a shade house goes bankrupt because the cost of food is too high. In fact, before COVID-19, many golf courses suffered from financial difficulti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golf courses experienced their biggest boom ever for three to four years. If you knew you would enjoy such a boom forever, you would be mistaken. However, some golf courses are said to be moving to raise their prices again while talking about the best service. It is not easy to lower the cost of golf courses once you raise them, so raising the cost is not everything. It may be a sign that you should try your best to stir when the water comes in, but there is an end to greed. The end is the risk that the entire golf course will become like a shade house.

 

It is difficult for ordinary companies to survive, even if they compete to treat their customers like kings. Korean golf clubs, however, do not regard golf clubs as customers, but as targets of extortion and protection. However, it seems to me that greedy golf clubs are jumping into a fire pit with oil cans. We urge Korean golf clubs to appreciate the great understanding.

 

The Story of Maudae’s life and golf continues.

 

*↓     *↓     *↓     *↓     *

 

'음식 값 횡포'...골프장 그늘집 사라질 판 <42>

 

"오래전부터 선후배들이 골프 모임을 결성, 부산의 모 골프장에서 한 달에 한 번씩 단체 라운드를 하고 있는데 작년엔 4만 원이던 객단가(客單價)를 올해 5만 원으로 또 올렸어요. 맥주 한 캔에 1만 원, 안주 하나에 4만~5만 원, 이런 폭리가 어디 있습니까. 골프장 식당이 내미는 계산서를 볼 때마다 화가 치밉니다. 진짜 해도 해도 너무합니다. "

 

"음식 값이 너무 비싸니 골퍼들로 북적대던 '골프장 그늘집'이 텅텅 비어버렸어요. 호구 취급을 받던 골퍼들이 그늘집 음식 먹기를 거부한 것입니다. 그늘집이 망하고 있는 것은 골프장들의 자업자득입니다. “

한국 골프장들 '못 말리는 탐욕'..."객단가 또 올렸다"

골퍼장들의 탐욕은 끝이 없습니다. 비싼 그린피, 비싼 카트비도 모자라 터무니없는 음식값으로 골퍼들을 또 울립니다. 회원제 골프장이건 퍼블릭 골프장이건 음식값 비싸기는 마찬가지입니다. 막걸리 한 병에 15,000원에서 2만 원까지 받는 골프장들이 수두룩합니다.

골프장에서 월례 모임을 하는 골퍼들은 객단가가 과하다는 불만을 터뜨리고 있습니다. 객단가란 골프장에서 정기적인 모임을 하는 골퍼들이 클럽하우스 식당에서 먹어주어야 하는 1인당 음식값을 말합니다. 예컨대 매월 5(4×5=20)가 골프장에서 정기 라운드를 한다면 그린피, 카트비, 캐디피 이외에 1인당 5만 원 이상의 객단가(식사비, 주대, 음료값 등)를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A 교수는 수년전부터 월례회 라운드 장소로 이용하고 있는 부산 B 골프장으로부터 올해 초 객단가를 4만 원에서 5만 원으로 올리겠다는 통보를 받고 너무 화가 치밀어 올랐다고 털어놓았습니다. 통상 객단가는 회식비 개념으로 회원들이 낸 회비로 충당했는데, 5만 원으로 인상되면서 회비를 더 거둬야 할 처지에 빠졌기 때문입니다. 객단가라는 이상한 이름을 붙여 골퍼들에게 강제로 추가부담을 시키는 골프장이 한국 이외 다른 나라에도 있을까요?

 

최근 일본 오사카 인근에 있는 골프장에서 23일간 라운드를 즐기고 왔다는 C 씨는 "한국 골프장들의 초고가(超高價) 갑질은 정상궤도를 한참 벗어난 '미친 수준'이다."라며 흥분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일본 골프장에서는 노캐디로 라운드를 즐길 수 있었고 두 끼 식사에다 리조트 숙박, 온천욕까지 포함해서 하루 비용이 10만 원선에 불과했다는 것입니다. 만약 한국에서 일본과 같은 서비스를 받으려면 1인당 50~100만 원 정도는 들었을 것이라는 게 C 씨의 주장입니다.

비싼 음식값에 골퍼들 외면...그늘집 결국 문 닫아

그러나 한국 골프장들의 '탐욕적인 갑질'은 서서히 한계를 드러내기 시작했습니다. 문을 닫는 그늘집이 속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골프장들은 클럽하우스 이외에 아웃코스 9홀과 인코스 9홀 중간에 그늘집을 지어놓고 간단한 식사나 식음료를 판매하는 영업을 해 왔었습니다. 5~6년 전만 해도 그늘집에는 막걸리나 맥주, 음료 등을 즐기는 골퍼들로 북적거렸지만 언제부턴가 텅텅 비기 시작했습니다. 음식값이 워낙 비싸다 보니 골퍼들이 그늘집 이용을 외면했기 때문입니다.

골퍼들이 그늘집 이용을 철저히 외면하니까 결국 골프장들은 손을 들고 말았습니다. 그늘집에서 근무하는 직원을 내보내거나 다른 데로 배치할 수밖에 없었죠. 현재 상당수의 그늘집은 문을 닫았으며 화장실만 가동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일부 골프장들은 있는 시설을 놀리기가 아까웠던지 카드 리더기를 설치한 뒤 음료와 맥주, 과자류 등을 비치해 놓고 무인판매소처럼 운영하고 있으나 이곳을 찾는 골퍼들은 거의 없습니다.

 

그늘집은 이젠 파리만 날리는 찬밥신세가 되고 말았습니다. 문 닫은 그늘집 안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식탁과 의자 위에는 먼지만 뽀얗게 앉아 있습니다. 그늘집 하나를 지으려면 수억 대의 돈이 듭니다. 골프장 입장에서는 덩그렇게 비어 있는 그늘집을 보고 있으면 억울하기 짝이 없을 겁니다. 고객 없는 매장은 살아남을 수 없듯이 고객 잃은 골프장 그늘집도 결국 셔트를 내려야 했던 것입니다.

클럽하우스 식당 음식 거부 움직임... 외주업체 견뎌낼까?

그런데 골퍼들의 골프장 음식 거부현상은 그늘집을 넘어 클럽하우스 식당까지 번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골프장들은 식당과 그늘집 영업을 직접 하지 않고 대기업 계열사에게 일정 수수료를 받고 외주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골퍼들이 클럽하우스 식당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골프장 입장에서는 당장 손해 볼 일은 없다고 생각할지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고객이 계속 외면하는 기간이 길어지면 외주업체도 버티지 못하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합니다.

외주업체가 떠나고 나면 골프장은 정말 골치 아파질 것입니다. 짬짬이 찾는 고객이 있으니 식당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고, 식당을 존치시키자니 자격증을 가진 요리사, 서빙 직원 등 적지 않은 직원을 고용해야 합니다. 지금과 같은 갑질을 일삼고 있는 골프장들의 행태를 볼 때 그런 궁지까지 몰려야 고객의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코로나 팬데믹이 풀리고 해외여행 행렬이 이어지면서 골프장에도 찬바람이 불기 시작했습니다. 최근 들어서는 골프장 예약 사정이 훨씬 좋아졌고, 많은 골프장들은 이른 아침시간이나 오후 시간대에는 예약이 비기 시작한 것입니다. 골퍼들이 비싼 요금을 견디지 못하고 값싸게 칠 수 있는 해외 골프장으로 발길을 돌렸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젊은 층인 MZ세대가 골프를 외면하기 시작한 점은 골프장 입장에서는 뼈아플 것입니다. 미래 고객이 사라지는 것이니까요.

"가격 너무 비싸면 그늘집처럼 골프장도 망한다"

고객이 없는 그늘집은 망했거나 망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대로 가다간 클럽하우스 식당까지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커집니다. 골프장 입장에서는 이 문제를 큰 시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음식값이 너무 비싸 그늘집이 망하듯이 골프비용이 너무 비싸면 골프장도 망할 수 있다는 사실 말입니다. 실제로 코로나 이전에는 많은 골프장들이 경영난에 허덕인 적이 있었습니다.

코로나 특수를 타고 골프장들은 3~4년 동안 사상 최대의 호황을 누렸습니다. 영원히 그런 호황 잔치를 누릴 줄 알았다면 착각입니다. 그런데 일부 골프장들은 최상의 서비스 운운하면서 가격을 또 올리려는 움직임이 있다고 합니다. 한번 올린 골프장 비용은 내리기 쉽지 않으니 비용을 올리는 것만이 능사가 아닙니다. 물 들어왔을 때 노 실컷 저어보자는 심보인지는 몰라도 탐욕의 끝은 있기 마련입니다. 그 끝은 골프장 전체가 그늘집과 같은 신세로 전락할 위험성입니다.

 

일반 기업들은 경쟁적으로 고객을 왕처럼 모셔도 살아남기 어렵습니다. 그런데 한국 골프장들은 골퍼들을 고객으로 보지 않고 강탈의 대상이자 호구로만 보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저의 눈에는 탐욕에 눈먼 골프장들이 기름통을 지고 불구덩이 속으로 뛰어드는 것 같이 위태롭게 보입니다. 한국 골프장들의 대오각성을 촉구합니다.

 

마우대의 인생골프 이야기는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