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이승만5

다시 읽는 이승만 대통령 취임사 <9> 나의 사랑하는 동포 여러분. 내가 오늘 또 한번 우리 민중 앞에 서서 대통령 취임 선언식을 제3차로 행하게 된 것입니다. 우리 동포들이 나의 지도에 신념을 표시한 것에 대해서 내가 겸손한 마음과 영광스러운 뜻으로 평화할 때에나 전쟁 중에서나 또 국내 국외의 관계를 막론하고 우리 민족의 복리를 위해서 내 성심과 능력을 다하기를 맹서하는 바입니다. 이 다음 4년은 우리 역사에 제일 긴절한 시대입니다. 우리가 앞에 당한 여러 가지 큰 문제를 위해서 많은 희생을 당하며 여기까지 나온 역사를 대강 생각해 보는 것이 필요한 것입니다. 우리의 제일 긴급하고 절박한 문제는 통일입니다. 한국이 분렬된 것을 잠시라도 그저 두는 것은 우리나라 국민에게 불공평한 것이며 세계평화를 위협하는 것입니다. 그 반면으로 한국을 통일시.. 2024. 3. 21.
국민이 '멍청한 바보'인 나라? <8> 탈북자 김태산 씨, 한국인에 '뼈 때리는 돌직구' 탈북자 김태산(72) 씨가 최근 한 매체를 통해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뼈 때리는 돌직구를 날렸습니다. 한국을 절단 내려는 종북 역적들이 설치고 소중한 자기 것도 지키지 못하는 보수 우파들에 대한 질타였습니다. 김일성 수하에서 태어나 자라 교육을 받았고, 국가 고위직 공무원이 되어서 김일성 체제 수호를 위해 외화벌이에 앞장섰던 김 씨가 사선(死線)을 넘어서 생의 마지막 선택지로 삼았던 대한민국에서 빚어지고 있는 작금의 '희한한 현상'을 접하고 심각한 우려를 쏟아낸 것입니다. 1952년 북한 자강도에서 태어난 김태산은 북한 경공업성 관료(책임지도원·국장급) 자격으로 2000년 7월 북한과 체코정부와 무역협정으로 수도 프라하에 설립된 '조선체코신발기술 합작회사'.. 2024. 3. 18.
다시 읽는 이승만 대통령 취임사 <6> 취임사 속에 치열한 '애국애족 정신' 담겨 있어건국 대통령 이승만(李昇晩)의 치열하고도 절박한 '애국 애족 정신'이 2024년 2월 1일 개봉한 김덕영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건국전쟁'을 통해 부활하고 있습니다. 이승만 대통령은 공산주의를 선택한 북한과는 달리 온갖 어려움을 뿌리치고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대한민국에 선물했습니다. '자유민주주의 자양분'에 뿌리를 내린 대한민국은 76년 만에 세계 10대 경제대국으로 선진국 대열에 우뚝 선 반면 공산주의에 매몰된 북한은 세계 최빈국으로 곤두박질치는 바람에 하늘과 땅 사이의 간격인 '천양지차(天壤之差)'가 되어버렸습니다. 이승만은 평생을 독립투사로 살아왔고, 대통령이 되어서는 대한민국이 올바른 길을 갈 수 있도록 기틀을 잡는데 심혈을 기울였음에도 1960년 3.. 2024. 3. 7.
다큐 영화 건국전쟁은 'n차 관람용'? <5> 이승만의 '삶 궤적' 바로잡은 다큐영화의 힘이승만(李承晩) 초대 대통령의 오도된 삶의 궤적을 바로잡기 위해 기획 제작된 김덕영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건국전쟁'으로 대한민국이 후끈 달아오르고 있습 니다. 건국전쟁을 보고 나면 예외 없는 반응이 나옵니다. "이승만의 진실된 삶을 접하고 가슴 먹먹했다", "평생 이승만을 오해하면서 속고 살아온 사실이 너무 억울하고 미안했다", "건국 대통령의 위대함을 알게 되어서 감동했다", "거짓은 결국 진실의 힘에 의해 꼬꾸라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김일성 왕조의 획책과 종북 친북 주사파들의 악랄함이 얼마나 지독한지를 깨닫게 되었다" 등등.그런 의미에서 잘 만든 다큐 영화 한 편의 가치가 얼마나 큰지를 새삼 확인시켜 준 사례이기도 합니다. 한국에서는 거짓과 왜곡을 .. 2024. 2. 29.
프란체스카의 '가없는' 한국 사랑 <4> 다큐영화 '건국전쟁' 이승만 왜곡 바로잡기 단초로 요즘 이승만 초대 대통령의 오도된 삶의 궤적을 바로잡기 위해 기획된 김덕영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건국전쟁'이 대한민국 전체 사회를 뒤흔들어 놓고 있습니다. 2024년 2월 1일 개봉할 때는 미미했지만 갈수록 관객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다큐 영화는 극영화와는 달리 관객 10만 명 돌파가 쉽지 않다고 하지만 건국전쟁은 이를 비웃듯 100만 명 돌파를 향해 달려가는 상황입니다. 독재자, 살인마, 런승만 등으로 손가락질 받던 이승만이 다큐 영화 한 편을 통해 그의 진면목이 드러나고 있으니 참으로 다행입니다. '잊힌 존재' 프란체스카 여사 떠올린 계기로 자유민주체제 확립과 공산화를 차단한 이승만은 대한민국 출발의 뿌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 2024. 2. 23.
728x90
반응형